에뮬레이터에서는 잘 되던 구글로그인, 카카오톡 로그인이 GooglePlay에 등록된 앱에는 안된다.
무슨일일까 찾아보다가 나의 실수라는것을 발견하였다. 그리고 새로운 것을 깨달았다.
바로 SHA-1지문 다르게 해줘야 하기 때문!
내 프로젝트 SHA-1 지문과, 구글에서 공개키로 바꿔준 SHA-1인증 키 모두 등록해야한다.
아예 처음부터 해보도록 하겠다.
1. 구글 로그인 파이어베이스 설정하기
파이어베이스는 SAH-1지문을 직접 작성하게 되어있다.
프로젝트 설정 - 일반에 아래와 같이 해당 프로젝트의 지문을 넣어줘야 한다.
SHA-1지문은 어떻게 찾을까?
위와 같은 경로로 찾을 수 있다. 해당 키를 파이어베이스에다가 넣어주면 된다.
근데 이렇게만 하면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등록된 앱이 안돌아간다.
왜냐하면 구글 등록했을때는 구글에서 내 프로젝트 SHA-1 지문은 비공개로 되고, 따로 공개키를 생성해주기 때문!
즉, 구글에서 공개키로 설정 된 SHA-1 지문도 같이 등록을 해줘야 한다는 것
아래의 사진과 같이 들어가면 공개된 SHA-1키를 확인 할 수 있다.
스크롤을 내리면 내 진짜 프로젝트 SHA-1키도 나온다.
공개된 SHA-1키를 복붙하여 파이어베이스에 같이 붙여주면 이제 구글 로그인을 가능하게 된다!
2. 카카오 로그인 오류 해결하기
1번 파이어베이스에 SHA-1을 찾은것을 카카오 로그인은 해시키로 만들어야 한다.
해시키는 SHA-1지문을 말그대로 해시키로 만든것이다. 만드는 방법은 카카오 개발자 문서에도 나와있고,
블로그를 찾으면 엄청 많이 나오지만 나는 그냥 내 방법대로 시도하려고 한다.
나는 깃배시를 활용하고자 한다.
깃배시가 없는 분들은 다른 블로그를 참고하는게 좋을듯하다. 나한테는 이게 가장 간단하였기 때문이다.
내 프로젝트에 들어가서 깃배시를 열어준다.
echo “ 내 공개 SHA-1 코드 넣기 ” | xxd -r -p | openssl base64 을 하면 알아서 생성해준다.
이걸 카카오 개발자 프로젝트 해시코드 넣어주는 곳에 넣어주면 된다.
아마 구글 플레이에서만 오류 나는거라면 이미 프로젝트 자체에 있는 해시코드는 넣어준 상태일것이다.
구글에서 공개된 SHA-1 인증 지문도 해시코드로 만들어서 같이 넣어줘야 한다.
'Google Play 출시 - 경고 및 거부사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oogle Play 명의도용 이의제기 신청하기, 교육 듣기, 해결과정 (1) | 2024.01.26 |
---|---|
Google Play 앱 거부 명의 도용 관련 정책 위반 (0) | 2024.01.01 |
Google play 앱 배포시 경고! 이 App Bundle 아티팩트 유형은 네이티브 코드를 포함하며 아직 디버그 기호가 업로드되지 않았습니다. 해결 (0) | 2023.10.12 |
Google play 앱 배포시 경고! App Bundle 유형과 연결된 가독화 파일이 없습니다. (0) | 2023.10.12 |
Google play 등록 오류 백그라운드 위치 액세스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않음 (0) | 2023.10.05 |